Pittingedema1 임상간호지식 Part 3. 요흔성 부종(Pitting edema) 단계의 기록방법 - Pitting edema Grading Scale 먼저 요흔성부종이란? 요흔성 부종은 임상에서 신장이 손상된 환자에게서 쉽게 볼 수 있다.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면, 눌렀을 때 피부가 복원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부종 을 말한다. 부종은 체액 축적으로 인해 연조직(Soft tissue)이 부은 것이다. (출처: 서울대병원의학정보) 즉, 부종이 있는 손등, 팔, 다리 등을 손가락으로 눌렀을때 움푹 들어간 모습을 요흔성 부종(함요부종)이라 한다. 이러한 요흔성 부종은 경과에 따라 호전될수도 심화될수도 있기 때문에 기록을 남겨야한다. 간호기록 또는 인계장에 대상자의 상태에 대해 공유하는 기록을 남기게 된다. 그때 Pitting Edema grading scale을 한다. 지금부터 그 요흔성부종의 단계 구분에 대해 알아보자. 쉽게, 얼마나 어느깊이만큼 움.. 2023. 1. 3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