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상간호지식노트

임상간호지식 Part 4. 노인성 질환관리 - 허혈성 심질환 (PQRST 흉통사정도구)

by 엠마글라스 2023. 1. 31.

허혈성 심질환

국내 사망원인 1위, 2위 질환은 무엇일까?

대한민국 사망원인 1위는 , 2위는 심장질환이다. (출처 : 연합뉴스 20200922)

오늘은 이 중 심장질환에 대해, 또 노인의 심장질환에 포커스를 맞추어 이야기를 써볼까 한다. 

심장질환은 너무나도 광범위하므로 구체적인 질환으로 협심증, 심근경색, 부정맥, 심부전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먼저 허혈성 심질환에 대해 알아보자.

 

1. 허혈성 심질환(Ischemic heart disease)

1) 정의 : 관상동맥이 좁아져 심근에 혈액공급이 불충분한 상태를 말한다. 

2) 특징 

- Subclinical coronary artery disease : 흉통이 없으며 노인에게 많이 발생

- Stable Angina : 허혈기간이 짧고 심근이 비영구적 손상

- Unstable Angina : 휴식 & NTG에 완화되지 않는 흉통

- Acute MI : 혈전에 의한 관상동맥의 폐색 (STEMI/NSTEMI)

 

2. 그렇다면 어떠한 심장의 생리학적 변화에 의해 이러한 허혈성심질환으로 이환되는 것일까?

: 바로 Diastolic Dysfunction에 의한 것이다. 노화에 따라 확장기 기능부전이 관찰되기 때문이다. 즉, 심실이 좁아지고 딱딱해진 심실로 적은 혈액이 흐른다. 이로 인해 빈맥(Tachycardia), 체액량(Body fluid) 증가, 심근허혈이 나타난다. 뿐만아니라 Aging heart에 의해 베타-아드레날린성 반응이 둔화되고, B-blocker 약제반응이 둔화되는 변화가 있다.

 

3. 허혈성 심질환의 위험요인(Risk Factor)

1) 흡연, 고혈압, 고혈당, 중성지방, 콜레스티롤, 비활동, 과체중 : 수정 가능한 위험요인이다.

2) 연령, 성별, 가족력 : 수정 불가능한 위험요인이다. 

 

4. 원인 

: 관상동맥 내 죽상경화증으로 인해 발생한다. 즉 혈관 내 혈전, 플라그로 인해 폐색이 일어남으로써 발생한다. 

 

5. 주요증상 

: 노인 허혈성심질환의 주요증상은 "비특이적 증상"을 나타낸다는 것과 혼동, 불안, 전신불편감을 나타낸다.

비특이적 증상은 숨찬느낌, 복통, 피로감 등 심장질환에 의한것이 맞나?라고 생각하게 만드는 증상들을 말한다. 

노인은 특히나 흉통 표현의 강도가 약하다. 증상을 잘 인지하지 못해 증상을 늦게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세밀한 관찰과 문진, 검사가 중요하다. 

 

6. 흉통사정 (PQRST)

흉통사정(assessment)시 PQRST 로 확인한다. 흉통 악화요인, 시작시간, 질, 방사통, 위치, 강도, 완화요인을 포함한다. 

P :  흉통 악화요인은 무엇인가?

Q : 흉통의 질(특성)? 찌릿한가, 조이듯이 아픈가?

R : 방사통? 

S : 통증의 강도(심각성)은?

T : 통증의 시간은?

흉통사정(PQRST)

그 외 허혈성 심질환을 평가하기 위한 검사로 History taking이 기본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EKG, 심근효소검사(Cardiac marker), 운동부하검사, 심장관류영상검사(Myocardial SPECT), CAG(Coronary Angiography) 등을 할 수 있겠다.

여기서 노인환자는 비특이적 증상과 감별하는 것이 중요하며 혼동, 불안, 전신불편감을 동반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 본 게시물은 개인의 창작물이므로 불법 복제 및 변형을 금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