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상간호지식노트

임상간호지식 Part 3. 요흔성 부종(Pitting edema) 단계의 기록방법 - Pitting edema Grading Scale

by 엠마글라스 2023. 1. 30.

먼저 요흔성부종이란? 

요흔성 부종은 임상에서 신장이 손상된 환자에게서 쉽게 볼 수 있다.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면, 눌렀을 때 피부가 복원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부종 을 말한다. 부종은 체액 축적으로 인해 연조직(Soft tissue)이 부은 것이다. (출처: 서울대병원의학정보)


즉,  부종이 있는 손등, 팔, 다리 등을 손가락으로 눌렀을때 움푹 들어간 모습을 요흔성 부종(함요부종)이라 한다. 

 

이러한 요흔성 부종은 경과에 따라 호전될수도 심화될수도 있기 때문에 기록을 남겨야한다. 간호기록 또는 인계장에 대상자의 상태에 대해 공유하는 기록을 남기게 된다. 그때 Pitting Edema grading scale을 한다. 지금부터 그 요흔성부종의 단계 구분에 대해 알아보자. 쉽게, 얼마나 어느깊이만큼 움푹 들어가느냐로 판단한다. 실제 나는 이 수치가 잘 외워지지 않아 항상 수첩에 적어놓거나 찾아서 기록을 했던 것 같다.


Pitting edema(요흔성부종) grade
출처 : clevelandclinic

1) Grade +1 (ex) 임상에서 Pitting edema 원포지티브 or 원포지로 읽는다.)

:  2mm 깊이까지의 부종, 즉각적으로 피부가 돌아온다.

2) Grade +2 

: 3-4mm 깊이까지의 부종, 15초 정도의 피부가 복귀되는 시간이 걸린다.

3) Grade +3 

: 5-6mm 깊이까지의 부종, 60초 정도의 피부가 복귀되는 시간이 걸린다.

4) Grade +4 

: 8mm 깊이까지의 부종, 2-3분 정도의 복귀시간이 걸린다. 

 

요흔성부종 관리? 

 처방에 따라 다르지만 임상에서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처치는 "이뇨제", 그리고 "압박스타킹 착용", 우리가 중재해줄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것은 "부종부위 거상(Elevation)"이다. 

 

간호기록 예시)

Both leg Pitting edema 2+ 확인 됨. Both leg elevation Pillow로 Elevation 해줌. 처방에 의해 Both leg compression stocking 적용중임. Both toe's M/S/C good. (압박스타킹에 의한 말초부위 순환을 확인하기 위해 Motor, Sense, Circulation 등을 기록해줄 수 있다.) 

 

> 정리

오늘은 간단하게 Pitting edema staging에 대해 알아보았다. Pitting edmea는 Staging을 정확하게 하고 기록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기본적인 간호중재를 바탕으로 처방에 의한 이뇨제를 정확한 용량으로 투약하는 것이 중요하며, 그에 따른 소변배출량 (Input & Output)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부종이 있는 환자에게 과량으로 수액이 투여되지 않도록 수액 주입속도 및 총 투여량을 확인하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 본 게시글을 임상경험에 의해 서술한 개인 창작물이므로 불법 복제나 변형을 금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