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창이야기 그 마지막 시간이다. 임상에서 신환이 입원하면 욕창, 낙상에 대한 초기평가를 입원 24시간 내 시행하게 된다.
이때, 많은 의료기관에서 빈번하게 활용하게 되는 도구가 Braden Scale이다. 이 Braden Scale의 항목에 대해 소개해보려 한다.
이 외에도 욕창평가도구는 Norton도구(5가지 항목 - 신체상태, 정신상태, 활동, 움직임, 실금/ 5-20점, 낮을수록 욕창위험 증가), Waterlow도구(11가지 항목- 키에 대한 체중, 피부상태, 성별, 연령, 실금, 움직임, 식욕, 약물복용, 조직 영양결핍, 신경학적 장애, 대수술 또는 손상 / 1-64점, 높을수록 욕창위험 증가), Performance Palliation Scale((PPS), 5가지 항목 - 기상(ambulation), 활동정도, 자가간호, 구강섭취, 의식수준)이 있다. (참고: 병원간호사회 임상간호실무지침 욕창간호)
1. Braden Scale 구성
: 6가지 요소(감각인지, 습기, (신체)활동, 움직임(체위변경), 영양상태, 마찰력과 전단력), 6-23점
2. Braden Scale 판단기준
저위험 : 15-18점, 중위험 : 13-14점, 고위험 : 10-12점, 초고위험 : 9점 이하
3. Braden Scale
4. 욕창 예방활동
그렇다면 임상에서의 욕창예방활동은 무엇이 있을까?
가. 근무조별로 체위변경 및 압박부위 피부확인을 할 수 있다.
-> 2시간마다라고 Routine 하게 정하는 것이 아닌, 대상자의 상태에 따른 체위변경 주기를 정하고 상태를 확인한다. 이때, 의료기구에 의한 욕창에도 주의하도록 한다.
나. 에어매트리스나 베개 등의 보조기구를 활용한다.
-> 도넛베개, 물을 채워넣은 주머니 등은 피하도록 한다.
다. 실금(배변, 배뇨)에 주의한다.
-> 피부를 습하게 하는 것은 욕창이 생기기 쉬운 조건이다.
라. ROM을 시행한다.
-> 능동적, 수동적 관절운동을 격려해준다. 부동으로 인해 신체부위 압력이 높아져 욕창이 잘 발생하기 때문이다.
마. 식이섭취를 확인하고 격려한다. (-> 간단하지만 가장 일반 병동에서는 신경 쓰기 어려운 부분이다. 그리고 대부분의 욕창환자들은 스스로 식사를 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Levin tube를 통한 Feeding, TPN을 IV, Central Catheter를 통해 주입하는 경우가 많다.)
* 본 포스팅은 임상경험을 바탕으로 서술한 소중한 창작물이므로 무단복제 및 배포를 금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