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창은 임상에서 장기 입원환자, 노인환자, 부동 환자에게 생기는 대표적인 질환 중 하나다. 그만큼 욕창은 예방, 관리가 중요하다.
그래서 병원 입사 후 언젠가는 간호사라면 꼭 보게 되는 욕창에 대한 이야기를 정리해보려 한다.
나 역시도 욕창환자가 많이 발생하는 병동에 일했었고, 그 병동의 간호사들에게 욕창에 대한 교육을 시행하는 프로그램도 진행해보았었다.
결과는 간호사 대상의 욕창 교육은 필요했다. 아는 만큼 지식이 높아지고, 예방적 간호수행이 높아졌다.
1. 욕창 용어 정리, 용어의 변화
결론적으로 2016년부터 NPUAP(미국욕창자문위원단)에 따르면 "Pressure injury"라는 표현을 쓰는 추세이다. 줄여서 P. I. 라고도 한다.
본래 욕창은 흔히 Bed sore, Pressure sore, Pressure ulcer으로 많이 쓰였다. 하지만 용어의 의미상 제한점이 있었다. 특히, 1단계 욕창의 경우 Red ness임에도 불구 궤양을 뜻하는 Ulcer를 쓰는 것은 의미를 내포하기에 부족하다. 처음 나 역시도 욕창에 대한 교육을 들을 때 "Pruessure injury" "PI"라는 말이 너무 어색했고, 6여 년이 지나서야 그 용어를 처음 들은 것이 부끄러웠던 기억이 난다.
2. 욕창이란?
장시간 지속적인 압박에 의해 피부, 심부 조직 내 혈액공급이 저하되고 결국 뼈 돌출 부위 피부나 연조직에 압력 궤양이 발생한 것을 말한다. 즉, 고무줄에 손가락이나 팔목 등이 압박되면 하얗게 혹은 창백하게 피부가 변하는 것처럼 여러 원인에 의해 혈액순환이 장시간 안되어 피부 손상(심하면 괴사까지)이 일어난 것을 말한다.
3. 욕창 왜 발생하나?
외적 요인 - Pressure (앙와위 시 Sacrum(천골)의 압력이 높고, 복위 시 무릎, 좌위 시 좌골 뼈의 압력이 높아진다.) Shear(전단력이다. 반좌위로 기대어 누워있다가 스르르 미끄러지면서 발생하는 힘이다.) → 30도 각도 거상이 전단력 감소에 굉장히 중요하다고 한다. (상체, 하체 동시에 30도 각도 거상, V Shape position) Friction(마찰력이다. 침상에서 환자를 옮기면서, 체위변경을 하면서 발생하는 마찰력과 기저귀가 피부에 닿으며 발생하는 마찰력, 물티슈 등 외부적 마찰에 의해 열이 발생되어 피부층이 손상될 수 있다. 환자 이동시 끌지 않고 번쩍 드는 것이 중요하다.) Moisture(습도다. 우리가 물에 오랫동안 손이나 발을 담그면 쭈글쭈글 붓는 것처럼 습도 관리가 안되면 피부는 약화된다.) 내적 요인 - 조직 내구성의 저하, 신경손상, 영양상태 불량, 허혈, 허혈 후 재관류 저하, 고령 등, 비타민C 결핍, 빈혈, 피하지방 소실, 부종 등 여러 원인이 있다. 결국! 외적 요인, 내적 요인에 대한 관리만 잘 이루어지면 욕창은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잘 치유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4. 욕창 분류
임상에서 가장 쉬우면서도 힘든 건 욕창 분류다. 학부 때 표피, 진피, 피하지방, 뼈/건/근육 순서로 손상이 되면 1단계에서 4단계로 나뉜다고 배운 것 같은데실제 임상에서는 단계 분류가 더 세부적으로 나뉘었고, 환자 상태를 보고 판단을 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번에 공부하면서 가장 의외였던 것이 1단계 욕창이다.
분류 : Stage 1, Stage 2, Stage 3, Stage 4, DTI(Deep tissure injury), Unstageble
1) Stage 1(비창백성 홍반(Non-Blanching Redness))
; 아니 이게 무슨 말이야? 말 그대로 1단계 욕창은 창백해지지 않는 홍반(Redness)을 말한다.
지금 자신의 손바닥 붉은 부분을 눌렀을 때 하얗게 색이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것은 정상이다. 욕창 부위에도 마찬가지다.
1단계 욕창으로 의심 가는 부위에 붉은 피부 부분을 눌렀을 때 하얗게 변하지 않고 붉게 지속될 시, 욕창 1단계로 분류할 수 있다.
즉, "1단계 욕창은 Redness야."라는 말을 우리는 여태 잘못 이해하고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2) Stage 2
; 표피, 진피 일부분이 드러난 부분층 손상이다. Stage 2는 이해하기 쉽게 물집(수포) 또는 물집이 터진상태를 말한다. 얕은 상처라 하면 욕창 2단계로 볼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여기까지 마무리하려 한다.다음 글에서 욕창의 분류 3단계, 4단계, DTI, Unstageble 관련해서도 다뤄보려 한다.
* 본 포스팅은 임상경험을 바탕으로 서술한 소중한 창작물이므로 무단복제 및 배포를 금합니다.
댓글